
식품 표시사항 알레르기ㅣ알레르기 유발물질 및 위반 시 처벌 기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식품 표시사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인 알레르기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식품 표시사항에서는 크게 1. 알레르기 유발물질 2. 혼입될 우려가 있는 알레르기 유발물질두 가지로 나누어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식품 표시기준 (알레르기) 1.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 : 식품에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원재료가 사용되었을 경우, 해당하는 원재료명을 표시해야 합니다.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종류와 표시 대상, 표시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1. 알레르기 유발물질 종류 : 국내에서 관리하고 있는 알레르기 유발물질은 하기 19종 입니다. - 알류(가금류) - 우유 - 메밀 - 땅콩 - 대두 - 밀 - 고등어 - 게 - 새우 - 돼지고..
- 식품 개발 (Food Development)/식품 정보 (Food Information)
- · 2025. 4. 17.

영양성분 표시단위 기준ㅣ1회 섭취참고량과 1회 제공량의 차이
일전에 영양성분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린 적이 있는데요. 식품 표시사항 영양성분표 작성하는 방법식품의 영양성분 표시방법과 작성 가이드 식품 제조·가공업체가 제품을 판매할 때 반드시 따라야 하는 법적 의무 중 하나가 식품 표시사항입니다.특히 영양성분 표시는 소비자에게 식품의 영hoonnieer.tistory.com 제품의 영양성분표를 보다 보면 '1포장당', '1회 섭취참고량당', '총 내용량당' 등 다양한 기준으로영양성분표를 작성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그런데 소비자 입장에서는 1회 섭취참고량은 어떤 기준인지 모르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특히, 당뇨환자와 같은 경우에는 당류 섭취를 조심해야 하기 때문에 영양성분 계산에 더욱 유의해야 하죠. 오늘은 영양성분표의 다양한 표시 단위에 대해서 ..
- 식품 개발 (Food Development)/식품 정보 (Food Information)
- · 2025. 4. 2.

고열량 저영양 식품 구분하는 방법ㅣ고저식품 영양성분 입력 판정, 식품의약품안전처
안녕하세요.저번에는 고열량 저영양 식품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어서 오늘은 고열량 저영양 식품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열량 저영양 식품(High-Calorie, Low-Nutrient Foods) 구별 1. 고열량 저영양 식품 기준 : 고열량 저영양 식품의 의미를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면,열량, 당류, 포화지방, 나트륨 등 몸에 안좋은 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거나, 단백질이 적은 식품을 의미합니다. 해당하는 식품은 어린이 기호식품으로 이뤄져 있으며, 상세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2. 고열량 저영양 식품 구분법 : 고열량 저영양 식품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영양성분을 해당 식품 유형의 1회 섭취참고량으로 계산해서고열량 저영양 식품 기준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하면 ..
- 식품 개발 (Food Development)/식품 정보 (Food Information)
- · 2025. 3. 28.

고열량 저영양 식품(High-Calorie, Low-Nutrient Foods)이란?ㅣ고저식품 정의와 기준
어린 시절, 과자를 먹고 있으면 과자 대신 과일을 먹으라고 잔소리하시던 부모님에 대한 기억이 있는데요.밀가루, 설탕, 기름 등이 몸에 안 좋다고 알려져 있어 그렇게 말씀을 하셨던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이,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건강한 식습관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와 관련해 고열량 저영양 식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고열량 저영양 식품(High-Calorie, Low-Nutrient Foods) 1. 고열량 저영양 식품이란? : 고열량 저영양 식품(High-Calorie, Low-Nutrient Foods)은 칼로리는 높지만 영양소 함량이 부족한 식품을 의미합니다. - 한국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한 기준보다 열량이 높고 영양가가 낮은..
- 식품 개발 (Food Development)/식품 정보 (Food Information)
- · 2025. 3. 26.

식품 품목제조보고서 조회하는 방법ㅣ식품 연구원의 제품 분석하는 꿀팁
식품을 보면 보통 후면에 제품과 관련된 여러 정보들이 나와있는데요.대부분의 소비자들이 보지 않고 넘어가기도 하지만 관심이 있는 분이시라면영양성분과 원재료명쯤은 한 번쯤 보신 기억이 있으실 겁니다.일반적으로 원재료명을 작성할 때는 그리 길게 작성하지 않는데,그 이유는 배합에 대한 기밀 준수, 포장지의 한정된 공간 등 다양한 이유가 존재합니다. 다만, 원재료명, 품목제조보고서를 자세하게 보면 필요에 따라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오늘은 품목제조보고서 조회를 통해 제품을 상세하게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식품, 제품 분석 방법_품목제조보고서 조회 1. 품목제조보고 조회의 필요성 1.1. 알레르기 반응 예방 식품 표시사항 관련 법령에 의거하여 식품에는 알레르기 물질과 라인..
- 식품 개발 (Food Development)/식품 정보 (Food Information)
- · 2025. 2. 19.

식품 표시사항 영양성분표 작성하는 방법ㅣ영양성분 작성 가이드 라인
식품의 영양성분 표시방법과 작성 가이드 식품 제조·가공업체가 제품을 판매할 때 반드시 따라야 하는 법적 의무 중 하나가 식품 표시사항입니다.특히 영양성분 표시는 소비자에게 식품의 영양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선택을 돕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오늘은 식품의 영양성분을 표시하는 방법과 영양성분 분석 결과를 토대로 표시사항을 작성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식품 표시사항 관련 법령은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 시행 규칙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양성분 표시기준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배포한 한눈에 보는 영양표시 가이드라인에보기 쉽게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라인 자료를 기반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법령/자료>법령정보>공무원지침서/민원인안내서>민원인안내서..
- 식품 개발 (Food Development)/식품 정보 (Food Information)
- · 2025. 1. 13.